메모리즈
조선 최고의 실학자 다산 정약용의 유적지다. 이 마을에서 태어난 정약용은 조선의 개혁을 시도했으나 결국은 오랜 유배 생활 끝에 고향인 이곳에서 숨을 거뒀다.
기나긴 유배 기간은 그의 인생에서 가장 참담한 시절이었지만, 고통의 세월을 그는 학문을 확장하는 기회로 삼았다. <목민심서> <경세유표> 등 많은 저서는 모두 유배 생활동안 완성된 것이다. 이 기간 동안 그는 50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고, 이 위대한 업적을 통해 조선 후기 실학 사상을 집대성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다산유적지에는 나라의 부패를 꾸짖던 정약용의 청렴한 삶과 업적을 살필 수 있는 유적이 모여 있다. 그의 검소한 생활상이 그대로 보존돼 있는 생가 여유당과 묘, 시대를 앞서간 그의 업적을 전시해놓은 다산기념관, 그를 현대적 시각으로 재조명하는 다산문화관 등이 있다.
매년 9월이면 이곳에서 다산문화제가 열린다. 다산 묘역 참배와 기념식, 다산 사상 강연, 백일장, 미술대회 등을 열어 다산을 기리는 축제다. 다채로운 행사와 공연이 어우러지는 한마당에서 다산의 생애와 사상을 다시금 돌아보며 뜻깊은 시간을 보낼 수 있다. 깊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유적지 주변을 둘러싼 자연 풍광에도 그 못지않게 눈이 간다. 찬찬히 거닐며, 현인의 업적을 기리며 마음을 수양해보는 건 어떨까.
또한 다산유적지 인근에 있는 실학박물관은 다산 정약용 유적지에 자리한 국내 유일한 실학 관련 박물관이다. 실학박물관은 실학 관련 자료와 정보를 수집·보존하며, 이를 연구·전시하고 있다. 실학박물관에서는 실학자들의 연구 결과물, 실학 형성과정, 저술서 등의 자료를 관람할 수 있다.
관람편의
대중교통
서울에서. 중앙선 운길산역
→ 대중교통. 운길산역에서 다산유적지행 버스 56번
노약자보호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장애인 전용 화장실, 주 출입구 단차 없음, 휠체어 대여, 시각·청각장애인 편의 서비스, 유모차 대여
경기 메모리즈
성리학 오딧세이
Scro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