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메모리즈

조선의 신도시

왕이 꿈꿨던 혁신의 공간

사도세자의 아들로서 정체성을 가졌던 정조의 흔적(융건릉, 용주사)으로부터 화성을 전략적으로 성장시키고 그에 따라 전통시장(팔달문시장)이 만들어졌던 역사 순서를 따라가 보자.

스크롤 아이콘Scroll

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경기그랜드투어

검색아이콘 영문아이콘
융릉과 건릉 3
융릉과 건릉1
융릉과 건릉2
융릉과 건릉3
융릉과 건릉4
  • #융건릉
  • #정조
  • #유네스코

정조의 효심이 드러나는 또 하나의 장소로, 융릉과 건릉이 한데 모여 있어 흔히 ‘융건릉’이라고도 불린다. 추존왕 장조와 그의 비 헌경황후가 묻혀 있는 융릉은 본래 배봉산에 있었으나 1789년인 정조 13년, 정조의 뜻에 따라 현재의 자리로 옮겨져 새롭게 조성되었다. 진입부에 놓인 정자각과 능침이 일직선을 이루지 않는다는 점이 독특하다. 이는 풍수적 논리에 따른 것으로, 대다수의 왕릉은 일반적으로 그 두 가지가 일직선상에서 축을 이룬다.

효심이 지극했던 정조는 살아생전 죽으면 반드시 융릉 근처에 묻어달라고 신신당부했다. 그 바람대로 정조가 세상을 떠난 후 그의 능은 융릉 동쪽 언덕에 조성되었다. 그러다 효의황후마저 세상을 떠나자 반대편인 서쪽 언덕에 합장릉인 건릉이 조성되었다. 현재 국내에는 조선 시대 왕과 왕비의 능이 총 40기 남아 있는데, 그중 아버지와 아들이 같은 능역에 모셔진 곳은 융건릉을 비롯해 선정릉, 동구릉, 홍유릉 단 4곳뿐이다.

융건릉은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오전 10시 30분과 오후 2시에 해설사 안내소에서 시작되는 정기 해설은 융건릉을 자세히​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기본정보

주소 아이콘 주소

화성시 효행로481번길 21-1 지도보기

연락처 아이콘 연락처
031-222-0142
오픈시간 아이콘 오픈시간
2~5월·9~10월 09:00~18:00, 6~8월 09:00~18:30, 11~1월 09:00~17:30
입장료 아이콘 요금안내
내국인 만 25~64세 1,000원, 만 24세 이하 및 만 65세 이상 무료, 외국인 만 19~64세 1,000원, 만 7~18세 500원

관람편의

  • 대중교통 아이콘

    대중교통

    서울에서. 1호선 병점역
    → 대중교통. 병점역 후문 정류장에서 버스 34, 34-1, 35-1번

  • 에디터 추천식당

    청학동칡냉면

    청학동칡냉면

    새콤하면서도 매콤한 양념이 입맛을 자극하는 칡냉면 맛집이다. 얼음이 동동 떠 있어 시원한 육수가 일품이다. 반찬으로 제공되는 무절임과 열무김치 또한 칡냉면과 궁합이 딱 맞는듯이 조화롭다. 겨울에만 판매되는 회냉면과 함께 물만두 한그릇이면 올해 추위도 이냉치냉으로 이겨낼 수 있을듯하다. 

    화성시 효행로 468

    031-223-1182

  • 대체지점 아이콘대체지점